통장 잔고 부족, 카드 정지 및 한도 초과 등 다양한 이유로 보험료 2회 미납 시 보험이 실효됩니다.
실효 전 납입 알림이 오지만 깜빡하고 잊어버리는 경우 난감할 수 있습니다.
보험 실효가 언제 되었는지에 따라 부활 조건이 다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간편 부활 : 최고 납입 독촉 기간엔 보험료 3회 납입 시 조건 없이 유지
보험이 실효되면 보험회사에서 14일간의 납입 최고 독촉기간 안내를 합니다.
보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7일이며 이는 보험 약관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납입 독촉 기간에 2회 미납분과 1회 정상분을 납입하면 다른 조건 없이 보험이 정상적으로 유지됩니다.
고객센터 또는 보험 설계사를 통해 납입하시면 됩니다.
납입 최고 독촉 기간에도 보장은 유지된다는 점!!
#부활 청약 : 해지 유예 기간 내 청약서 작성, 고지 의무 이행 시 다시 보장 적용
최고 납입 독촉 기간 14일이 지나면 바로 다음날부터 장기 실효 / 해지 처리되어 고객에게 안내가 나갑니다.
안내와 동시에 보험이 해지된다면 보험 가입자 입장에서 억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입자에게 해지 유예기간이 주어집니다. 해지 유예기간은 보험마다 다르므로 약관을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해지 환급금을 받지 않았다면 해지 유예 기간 내 부활이 가능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보험을 새로 가입했을 때처럼 청약서 작성, 고지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는 것이죠.
질병이 발생한 경우 계약 내용에 따라 거절될 수도 있습니다. 보험사가 승낙 시 부활 청약 날까지 연체 보험료 + 이율로 계산된 금액 납입 시 보험이 다시 시작됩니다. 다시 시작되었기에 면책기간을 포함한 각종 기간이 다시 적용됩니다. (암의 경우 면책 90일 등)
또한, 해지 유예 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질병에 대해서는 보장받을 수 없습니다.
오늘 내용을 다시 정리하자면
1. 2회 미납 시 보험 실효, 가입자에게 안내
2. 납입 최고 독촉 기간에 2회 미납+당월분 납부 시 정상
3. 납입 최고 독촉 기간이 지나면 해지, 가입자 안내
4. 약관에 기재된 해지 유예 기간 안에 부활 요청 가능 (해지 위약금을 받지 않은 경우에만)
5. 부활시 청약서 작성, 고지 의무 이행 필수
6. 보험사 승낙 시 연체 보험료 + 이율로 계산된 금액 납입 시 부활
7. 부활 시 각종 기간 리셋되어 적용
항목 | 간편 부활 | 부활 청약 |
부활 기간 | 납입 최고 독촉 기간 내 | 해지 유예 기간 내 |
부활 조건 | 2회 미납+당월 금액 납부 | 해지 위약금 미 수령 시 청약서 작성, 고지 의무 이행 보험사 승낙 후 연체 보험료+이율로 계산된 금액 납입 |
부활 패널티 | 없음 | 각종 기간 리셋 |
보험 실효 시 위 내용을 잘 확인하셔서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댓글